티스토리 뷰
목차
영. 유아(0~6세) 층에서 수족구병이 최근 번지고 있다. 날씨가 무덥고 습하면서 물놀이할 때의 아이들 겹침과 구강감염 환자의 침, 가래, 콧물등 다양한 접촉으로 인해 감염되고 있어 부모님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닌데 자세히 원인과 예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수족구 주요 감염경로
손 등을 통한 분변 구강감염, 환자의 침 호흡기 분비물을 통함 비말 감염, 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 감염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영아의 기저귀 뒤처리 후 반드시 손을 씻고 배설물이 묻은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생활용품을 따로 사용하는 것도 감염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영. 유아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등에서 장난감, 놀이기구, 손잡이등 손이 닿는 집기 및 주변환경의 소독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영유아가 식사 전. 후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 등 개인예방수칙을 잘 지키도록 해야 한다.
가정에서의 소독방법
소독방법
환자가 만진 물건 등은 소독액 (염소 0.5%(5,000ppm)) 을 뿌린 후 10분 후에 물로 씻어낸다.
소독 시 주의사항
🔹 장갑, 마스크, 앞치마를 착용 후 소독 실시
🔹 소독을 할 때는 창문을 연 상태(외부 공기와 접촉된 상태)에서 실시하고 소독 후에도 충분히 환기 실시
🔹 소독액은 가연성 물질에 가까이 두지 말고 사용 후에는 소독 효과가 떨어지므로 보관하지 말고 버릴 것
🔹소독 후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올바른 손 씻기
소독액(염소 0.5% 5000ppm) 만드는 방법
- 빈 생수통 500㎖에 종이컵 1/3 양의 염소계 표백제를 (5% 기준) 붓는다.
- 물을 더해 500㎖를 채운 후 뚜껑을 닫아 잘 흔들어 섞는다.
수족구병 예방수칙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 씻기
- 기저귀 뒤처리 후, 배변 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환자를 돌본 후
- 특히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및 영유아 관련자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하기
수족구병 치료
수족구병은 예방백신이 없고 특별한 치료제가 없다 증상완화를 위해 대증요법을 사용한다.
- 발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해열 진통제사용
- 입안의 궤양으로 인해 입안에 음식물이나 물까지 삼키려 하지 않아 수분섭취 권유
- 탈수현상이 있을 경우 정맥용 수액치료